[경제학 탄력성] #4 공급의 탄력성, 다양한 모양의 공급곡선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제학 탄력성] #4 공급의 탄력성, 다양한 모양의 공급곡선

by silverbead 2022. 2. 18.

앞장에서 공급의 결정 변수에 대해 설명할 때 어느 재화의 판매자는 그 재화의 가격이 높을수록 공급량을 늘린다는 것을 알았다. 이제 탄력성의 개념을 이용하여 공급에 관한 정성적인 분석 대신 정량적인 분석을 해보자.

 

공급의 가격탄력성과 그 결정 변수

 공급의 법칙에 따르면 어느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그 재화의 공급량은 증가한다. 공급의 가격탄력성(price elasticity of supply)은 가격이 변할 때 공급량이 얼마나 변하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어느 재화의 공급량이 가격 변화에 민감하게 변하면 그 재화의 공급은 탄력적이라고 한다. 가격이 변할 때 공급량이 조금만 변하면 공급은 비탄력적이라고 한다.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공급자들이 생산량을 얼마나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가에 따라 좌우된다. 예를 들어 해변에 인접한 택지는 추가 생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공급이 비탄력적이다. 반면에 책, 자동차, TV 등 공산품은 가격이 높아지면 공장 조업시간을 연장하여 생산량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공급이 탄력적이다.

 

 대부분의 시장에서 공급의 가격탄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는 분석 대상 기간이다. 대체로 단기보다는 장기의 공급이 탄력적이다. 단기적으로는 기업이 생산을 늘리거나 줄이기 위해 공장 규모를 변경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급량이 가격 변화에 그리 민감하지 않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기업이 공장을 새로 건설하거나 기존의 공장을 폐쇄할 수 있으며, 신규 규 기업이 시장에 진입하거나 기존의 기업이 퇴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공급량이 가격 변화에 대해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한다.

 

공급의 가격탄력성 계산법

 지금까지 공급의 가격탄력성 개념에 대해 설명했다. 이제 탄력성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공급량의 변화율을 가격 변화율로 나눈 수치다.

 

공급의 가격탄력성 = 공급량의 변화율 / 가격의 변화율

 

 예를 들어 우유 가격이 1갤런당 2.85달러에서 3.15달러로 오를 때 낙농가들의 우유 공급량은 월평균 9,000갤런에서 1만 1,000갤런으로 증가한다고 하자. 중간점 공식을 사용하면

 

가격 변화율

 가격 변화율 = {(3.15-2.85) /3.00} x 100 = 10%이고, 

 

공급량 변화율

 공급량 변화율 = {(11,000-9,000) / 10,000} x 100 = 20%이다.

 

 따라서 공급의 가격탄력성

가격탄력성 = 20% / 10% = 2.0이다.

이 예에서 탄력성은 2로, 공급량 변화율이 가격 변화율의 2배라는 것을 나타낸다.

 

다양한 모양의 공급곡선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가격 변화에 공급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나타내므로, 가격탄력성은 공급곡선의 기울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림 5.5>에는 다섯 가지 유형의 공급곡선이 있다. 탄력성이 0이고 공급이 완전 비탄력적인 극단적인 경우에는 그림 (a)와 같이 공급곡선이 수직선이다. 이 경우 공급량은 가격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탄력성이 커질수록 공급곡선은 점점 더 완만해지며, 가격 변화에 대한 공급량의 변화폭도 커진다. 반면에 공급이 완전 탄력적인 경우 탄력성이 무한대에 접근한다. 이 경우에는 그림 (e)와 같이 공급곡선이 수평선이고 가격이 조금만 변해도 공급량은 매우 큰 폭으로 변한다.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공급곡선상의 위치에 따라 다른 경우가 있다. <그림 5.6>은 생산 능력이 한정된 공장을 보유한 업체들로 구성된 산업의 공급 행태를 보여준다. 공급량이 적을 때는 공급의 탄력성이 높은데, 이는 가격이 변함에 따라 기업의 공급량이 큰 폭으로 변한다는 뜻이다. 공급량이 적은 경우 업체들이 유휴 생산 능력이 있다. 예컨대 공장이나 설비가 하루 종일 혹은 하루 중 몇 시간씩 노는 상태다. 따라서 가격이 조금만 오르면 기업들은 이 유휴 생산 시설과 장비를 가동하는 것이 이익이다. 그러나 공급량이 증가함에 따라 궁극적으로 생산 능력은 한계에 도달하고,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새로운 공장을 건설해야 한다. 기업들이 추가 비용을 들여서 공장을 짓도록 유도하려면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해야 한다. 따라서 공급은 비탄력적이 된다.

 <그림 5.6>은 공급량에 따라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가격이 3달러에서 4달러로(중간점 공식을 사용하여 29% 상승) 상승하면 공급량은 100에서 200으로 (67%) 증가한다. 공급량의 변화율이 가격 변화율보다 크므로 공급 탄력성은 1보다 크다. 반면에 가격이 12달러에서 15달러로(22%) 상승하면 공급량은 500에서 525(5%) 증가한다. 이 경우 공급량의 변화율은 가격 변화율보다 작으므로 탄력성은 1보다 작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