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공급, 탄력성 응용사례 #1
본문 바로가기
경제 뉴스 부동산 등/경제공부

수요, 공급, 탄력성 응용사례 #1

by silverbead 2022. 2. 23.

농업의 입장에서 볼 때 좋은 소식이 농부들에게는 나쁜 소식이 될 수 있을까? 석유수출국 기구(OPEC)가 원유 가격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마약 금지령으로 인해 마약 관련 범죄는 증가할까, 감소할까? 얼핏 보기에 이 질문들은 서로 아무런 공통점이 없는 것 같다. 그러나 세 가지 질문은 모두 시장에 관한 것이며, 모든 시장은 수요와 공급의 힘에 따라 움직인다. 이제 수요, 공급, 탄력성이라는 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복잡한 세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자.

 

1. 농업의 입장에서 볼 때 좋은 소식이 농부들에게는 나쁜 소식이 될 수 있을까?

 

 여러분이 캔자스 주에서 밀을 재배하는 농부라고 가정해보자. 여러분의 소득은 전적으로 밀의 판매 수입에서 나오기 때문에 가능한 한 밀을 경작하는 토지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날씨와 토양 상태를 점검하고, 병충해가 있는지 확인하며, 최근에 개발된 영농 기술을 공부할 것이다. 밀 수확이 늘어날수록 시장에 내다 팔 밀의 양이 증가하고, 그 결과 소득과 생활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어느 날 캔자스주립대학교 농과대학 연구진이 토지 1 에이커당 생산량이 보통 종자보다 20% 많은 밀 종자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여러분이라면 이 소식을 듣고 어떻게 하겠는가? 새로운 종자를 써보겠는가? 이 발견으로 인해 여러분의 생활은 더 나아지겠는가, 아니면 더 못해지겠는가?

 

 우리는 앞에서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3단계 분석법에 대해 배웠다. 

첫째, 수요곡선이 이동하는지, 공급곡선이 이동하는지, 아니면 둘 다 이동하는지 판정한다.

둘째,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판정한다.

셋째, 수요·공급곡선 그래프를 이용하여 시장 균형이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한다.

 

 이 예에서 새로운 밀 종자가 개발되면 공급곡선이 이동한다. 이 종자는 다른 종자에 비해 단위 토지당 생산량이 많기 때문에 농부들은 각 가격에서 더 많은 밀을 공급 하려 한다. 따라서 공급곡선은 우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새로운 종자가 개발된다 해도 각 가격에서 소비자들이 희망하는 밀의 구입량은 변하지 않으므로 수요곡선은 변하지 않는다. <그림 5.7>에서 공급곡선이 S1에서 S2로 이동함에 따라 밀의 판매량은 100에서 110으로 증가하고 가격은 3달러에서 2달러로 하락한다.

 

 그렇다면 새로운 종자 개발로 농부들은 더 잘 살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첫 단계로 밀 재배 농가들의 수입이 어떻게 될지 살펴보자. 농부들의 수입은 PxQ, 즉 밀 가격에 밀 판매량을 곱한 수치다. 새로운 종자의 개발로 두 가지 상반된 효과가 발생한다. 새로운 종자로 인해 공급량은 늘었지만(Q 증가), 밀 가격은 전보다 낮아지는 것이다(P 하락).

 

 총수입의 증가 여부는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달렸다. 실제로 밀과 같은 기본적인 식료품에 대한 수요는 비탄력적인데, 그 이유는 이 제품들이 비싸지 않고 마땅한 대체재도 없기 때문이다. <그림 5.7>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수요곡선이 비탄력적이면 가격이 하락할 때 총수입은 감소한다. 그림을 보면 밀 가격은 상당히 큰 폭으로 하락하는 반면, 밀의 판매량은 소폭 증가하여 총수입은 300달러에서 220달러로 감소한다. 따라서 새로운 품종의 개발로 인해 농부들의 밀 판매 수입은 줄어든다.

 

 새로운 품종의 개발로 농부들의 생활수준이 오히려 전보다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새 품종을 채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려면 경쟁시장의 작동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각 농부들은 밀 시장을 구성하는 극히 작은 부분이므로, 시장 가격을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인다. 개별 농부들의 입장에서는 가격이 주어져 있으므로 새로운 종자를 채택하여 더 많이 생산하고 판매하는 것이 이익이다. 그러나 모든 농부들이 생산을 늘리면 밀 가격이 하락하여 결국 총수입은 감소하는 것이다.

 

 이 예는 가상적인 것으로 여겨질지 모르지만, 실제로 지난 1세기에 걸쳐 미국 경제에서 일어난 중요한 변화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200년 전만 해도 영농기술이 보잘것없어서 온 국민이 먹을 수 있는 식량을 충분히 생산하려면 대부분의 국민이 농사를 지어야 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영농 기술이 발달하여 식량 생산량은 많이 늘었다. 이처럼 공급이 늘어나자 곡물 가격이 하락하여 농가 수입이 감소했고, 그 결과 많은 농부들이 영농을 포기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역사적 변화의 크기를 보여주는 몇 가지 통계 수치를 살펴보자. 1950년에 미국 농가는 전체 노동인구의 17%인 1,000만 명에 달했다. 오늘날에는 농업인구가 전체 노동인구의 2%인 300만 이하로 줄었는데, 이 변화는 영농 기술의 획기적인 발달과 동시에 일어났다. 1950년과 2004년을 비교하면 농업인구는 70% 줄었으나 곡물과 축산물의 생산량은 2배 이상 늘었다.

 

 곡물시장에 대한 이상의 분석을 통해 얼핏 보면 이해하기 어려운 농업정책을 설명할 수 있다. 어떤 농업정책 프로그램은 농부들에게 곡물 생산을 줄이도록 함으로써 도움을 준다. 이런 정책들의 목표는 농산물의 공급량을 줄여서 가격 상승을 유도하고자 하는 거이다. 곡물에 대한 수요는 비탄력적이기 때문에 농부들이 공급을 줄이면 곡물 판매 수입은 증가한다. 개별 농부들은 시장 가격을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자기가 경작하는 곡물을 갈아엎을 이유가 없다. 그러나 모든 농부들이 곡물 생산을 줄이면 총수입은 증가한다.

 

 영농 기술이나 농업정책의 효과를 분석할 때 유의해야 할 사실은, 농부들에게 득이 되는 일이 사회 전체의 입장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영농 기술이 발달하면 농민들의 수가 감소하여 농민들에게는 나쁠 수 있지만, 소비자들의 입장에서는 곡물 가격이 하락하기 때문에 분명히 좋은 일이다. 반면 농산물 생산을 억제하는 정책은 농산물 판매 수입을 증가시키지만 소비자들은 피해를 당할 수 있다.

 

댓글